본문 바로가기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경제이야기

경제 위기 1929년 대공황, 세계 경제가 멈춘 날

반응형

주식시장이 무너진 날, 세계가 멈췄다

1929년 10월 24일, 목요일 아침.
뉴욕 월가 증권거래소 앞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몰려 있었어요.
주식 가격이 끝없이 떨어지고, 사람들은 울부짖으며

자신이 가진 주식을 헐값에 팔려고 했어요.

이날은 지금도 **“검은 목요일(Black Thursday)”**이라고 불려요.
그 뒤 며칠 사이에 주가는 폭락했고,

수많은 사람들이 하루아침에 전 재산을 잃었어요.
이 사건은 단순히 미국만의 문제가 아니었어요.

전 세계로 번져 세계 경제가 멈춰선 사상 초유의 사건,

바로 **1929년 대공황(Great Depression)**이 시작된 거예요.

 

 

대공황은 왜 일어났을까?

대공황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겹쳐져 있었어요.

주식 투기 과열

1920년대 미국은 “황금의 20년대”라고 불렸어요.
자동차, 라디오, 가전제품이 대중화되면서 경제가 크게 성장했어요.
사람들은 “주식만 사면 무조건 돈을 번다”는 믿음으로

은행에서 돈을 빌려 주식을 사들였어요.

하지만 실제 기업의 이익보다 주가가 훨씬 더 빠르게 올랐어요.
결국 거품이 터지면서 대폭락이 일어난 거예요.

 

은행 시스템의 취약성

당시 은행들은 예금자 보호 장치가 없었어요.
주식 시장이 무너지자 불안해진 사람들이

은행으로 몰려가 예금을 인출했어요.
이른바 “뱅크런(Bank Run)” 현상.

은행은 현금을 다 줄 수 없어 줄줄이 파산했어요.

 

과잉 생산과 소비 둔화

공장들은 자동차·가전제품을 쏟아냈지만,

일반 사람들의 소득은 그만큼 늘지 않았어요.
결국 물건은 창고에 쌓이고, 공장 가동이 멈추고, 노동자들이 해고됐어요.

 

국제 무역 악화

미국은 위기를 막으려고 **관세(세금)**를 크게 올렸어요.
하지만 이는 오히려 세계 무역을 더 얼어붙게 했고,

대공황은 전 세계로 퍼졌어요.

 

대공황 속 사람들의 삶

대공황은 단순히 경제 지표가 떨어진 사건이 아니었어요.
사람들의 삶을 완전히 바꿔버렸어요.

미국의 실업률은 **25%**에 달했어요.
일하는 사람 4명 중 1명이 직장을 잃었어요.

농부들은 농산물이 팔리지 않아 땅을 버리고 도시로 떠났어요.

도시에서는 무료 급식소 앞에 길게 줄 서 있는

**“빵 줄(Bread Line)”**이 흔한 풍경이었어요.

아이들은 학교를 그만두고 거리에서 신문을 팔거나 구두닦이를 하며 생계를 도왔어요.

쉽게 말해, 돈이 세상에서 사라진 것처럼 모두가 가난해진 시대였어요.

 

대공황의 세계적 확산

대공황은 미국만의 위기가 아니었어요.
달러가 세계에서 이미 중요한 통화였기 때문에, 위기는 순식간에 퍼졌어요.

 

유럽: 1차 세계대전 후 빚이 많았던 유럽은 더 큰 타격을 받음.

독일은 특히 심각했어요.

아시아: 일본은 수출이 줄며 불황,

조선(당시 한국) 농민들은 쌀값 폭락으로 고통을 겪었어요.

세계 무역: 국가들이 보호무역(관세 폭탄)을 하면서

무역량이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어요.

 

대공황은 세계를 하나의 운명 공동체로 묶었다는 점에서 “첫 번째 글로벌 위기”라고 할 수 있어요.

 

1929년 대공황, 주식 폭락으로 시작된 위기, 은행 파산과 실업 대란, 빵 줄과 후버빌 빈곤 생활, 마지막은 루스벨트 뉴딜 정책과 교훈의 4컷 만화

 

대공황 이후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미국의 뉴딜 정책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은 뉴딜(New Deal) 정책을 내놨어요.

뉴딜 정책은 “정부가 직접 나서서 무너진 경제를 고치는 큰 계획” 이었어요.

 

일자리 만들기

정부가 댐, 다리, 도로, 학교 같은 걸 짓게 했어요.

사람들은 이 일을 하면서 월급을 받고 생활할 수 있었어요.

 

은행 지키기

은행이 또 망하지 않도록 정부가 보호해줬어요.

사람들이 안심하고 돈을 맡길 수 있게 되었어요.

 

농민과 가난한 사람 돕기

농산물 값을 안정시키고,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먹을 것과 집을 도와줬어요.

 

독일과 일본의 극단적 변화

대공황으로 경제가 무너진 독일과 일본에서는

정치적으로 극단적인 세력이 힘을 얻었어요.

독일: 히틀러가 “경제를 살리겠다”며 집권.

일본: 군부가 경제와 정치를 장악.
결국 대공황은 2차 세계대전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어요.

 

국제 경제 제도의 변화

대공황은 세계가 서로 연결돼 있다는 걸 보여줬어요.
그 뒤로 각국은 국제 협력을 강화하게 되었고,

나중에는 IMF, 세계은행 같은 국제기구가 만들어졌어요.

 

오늘날 대공황에서 배울 점

대공황은 100년 가까이 지난 사건이지만, 오늘날에도 교훈을 줘요.

 

투기 거품은 반드시 꺼진다
→ 주식·부동산 값이 너무 빠르게 오르면 언젠가는 위험이 발생해요.

금융 안정 장치가 필요하다
→ 예금자 보호, 중앙은행의 역할이 경제를 지키는 방패에요.

정부 개입이 필요할 때가 있다
→ 위기 때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경제가 무너지지 않아요.

경제 위기는 세계로 퍼진다
→ 한 나라의 위기는 다른 나라에도 영향을 주므로 국제 협력이 중요해요.

 

세계 경제를 바꾼 1929년

1929년 대공황은 단순한 경기 침체가 아니라,

세계 경제 질서를 완전히 뒤바꾼 사건이었어요.
수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고, 가난에 허덕이며,

정치적 격변까지 일어났죠.

하지만 그 고통 속에서 우리는 중요한 제도와 교훈을 얻었어요.
은행 보호 제도, 정부의 적극적 역할,

국제 협력 같은 것들이 바로 그때 생겨난 거예요.

대공황은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날에도 우리가 경제를 이해하고 위기에 대비하는 데 꼭 기억해야 할 사건이에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