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도 이해하는 경제이야기

용돈은 어떻게 써야 할까? 똑똑한 소비 습관(어린이가계부)

toktokhana-writer 2025. 7. 24. 10:33
반응형

용돈을 받으면 마음이 설레고, 사고 싶은 것이 떠오르기도 해요.

어느 날, 용돈을 받자마자 과자를 사고 게임 아이템을 샀더니 금세 돈이 다 떨어졌어요.

그런데 며칠 뒤, 꼭 필요한 학용품이 생겼는데 살 돈이 없었어요. 이런 상황, 경험있나요?
용돈은 단순히 갖고 싶은 걸 사기 위한 돈이 아니라, 소비와 저축, 계획을 연습할 수 있는 기회에요.
오늘은 용돈을 똑똑하게 쓰는 방법과 어린이 가계부 쓰는 법까지 함께 알려줄게요.

이 글을 다 읽고 나면, 돈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멋진 경제 어린이가 될 수 있을 거에요.

 

용돈은 무엇을 위한 돈일까요?

용돈은 부모님같은 보호자나 다른 가족들이 어린이에게 주는 작은 돈이에요.
이 돈은 단순히 물건을 사는 데에만 쓰는 것이 아니라, 돈을 어떻게 쓸지 배우고,

스스로 소비를 조절하는 습관을 기르는 기회가 될 수 있어요.
어른들이 월급을 받으면 쓰고, 모으고, 기록하는 것처럼 어린이도 용돈으로 작은 경제 활동을 시작할 수 있어요.

 

용돈을 그냥 써도 괜찮을까요?

받은 용돈을 아무 생각 없이 모두 써버리면 꼭 필요한 물건을 살 수 없게 되고,

후회하거나 돈이 모자라 속상할 수 있어요. 어디에 얼마를 썼는지도 기억하기 어려워져요.

그래서 용돈을 받은 순간부터 계획적으로 나누고, 기록하며, 목적을 정해서 사용하는 습관이 필요해요.

 

용돈은 이렇게 나누어서 써보세요

용돈을 아래처럼 세 가지로 나누어보면 좋아요.

분류설명예시
필요한 소비 생활에 꼭 필요한 물건에 쓰는 돈 연필, 공책, 간식
저축 나중을 위해 모아두는 돈 저금통, 통장
자유 소비 원하는 것을 사는 돈 장난감, 과자, 게임 아이템

이렇게 나누어두면 필요한 건 놓치지 않고, 원하던 것도 적당히 살 수 있으며, 미래를 위한 준비도 할 수 있어요.

부모님께 용돈을 받고 한 번에 다 써서 필요한 것을 못 사는 어린이, 앞으로 가계부를 써서 올바른 소비습관을 기르기로 결심

어린이 가계부는 왜 써야 할까요?

가계부는 돈이 어디서 들어오고, 어디에 나갔는지 기록하는 노트예요.
어린이 가계부는 아주 간단하게 시작해도 괜찮아요.
예를 들어 아래처럼 써볼 수 있어요:

날짜               받은 돈                            쓴 돈                              무엇에 썼나요?                                  남은 돈
7/1 5,000원 1,000원 캐릭터 스티커 4,000원
7/3 - 2,000원 과자와 음료수 2,000원
 

이렇게 매일 또는 일주일에 한 번씩 기록하면 내가 어디에 돈을 많이 쓰는지 알 수 있고,
불필요한 소비를 줄일 수 있으며, 저축이 잘 되고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어요.

 

가계부를 쓰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

돈의 흐름을 알 수 있어요. 돈이 어디로 갔는지 기록을 통해 알 수 있어요.

불필요한 소비를 줄일 수 있어요. 다시 보고 “이건 안 사도 됐겠다”는 생각이 들 수 있어요.

목표를 정해 저축하기 쉬워져요. “3주 동안 6,000원을 모아서 책을 사야지!”

부모님과 용돈에 대해 대화하기 쉬워요. 내가 왜 돈이 부족한지, 어떤 소비를 했는지 직접 보여줄 수 있어요.

 

어린이 가계부, 이렇게 시작해보세요

노트나 수첩 한 권 준비하기, 날짜, 금액, 쓴 곳만 간단히 적어도 충분해요.

매일 1줄씩 쓰기, 하루에 딱 1분만 투자해도 좋은 습관이 돼요.

스티커나 색연필로 꾸며보기, 재미있게 꾸미면서 기록하면 오랫동안 계속 쓸 수 있어요.

 

용돈은 단순히 물건을 사기 위한 돈이 아니라, 돈을 나누고, 소비를 계획하며,

저축하는 습관을 기르는 좋은 기회예요.
특히, 어린이 가계부를 함께 쓰면 돈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힘이 생겨요.

앞으로 용돈을 받을 때는 “이 돈을 어떻게 나누어 쓸까?” “정말 필요한 것에 쓰고 있을까?”
“기록은 잘 하고 있을까?” 이렇게 스스로 질문해보면서 똑똑한 소비자, 책임감 있는 어린이가 되어보세요.

 

 

반응형